고민할 부분
1. 알게된 점
2. 느낀 점
3. 떠오르는 질문들
01. 마음의 도구
02. 400년의 축적
컴퓨터의 디자인이 출현한 원조 논문의 배경과 내용(p.20)
컴퓨터는 20세기 수학자들의 큰 꿈이 철저하게 좌절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이었다(p.25)
도대체 컴퓨터의 모델을 튜링기계라 부르고, 컴퓨터 분야의 노벨상을 튜링상이라고 부르는 연유는 뭘까? (p.27)
크루크 궤델의 불완전성 정리, '기계적인 방식만으론 수학의 모든 사실을 만들어낼 수 없다' (p.28)
sound and complete
튜링의 1936년 논문. 기계적인 방식이 뭔지를 정의한 뒤, 그 방식만으론 모든 사실을 만들 수 없음을 증명한다. (p.31)
- 튜링 기계의 부품
테이프
테이프에 기록되는 심볼들
심볼을 읽거나 쓰는 장치
그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심볼들
작동 규칙표
- 하나로 모든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첫째는 그 기계의 정해진 테이프와 심벌들만 가지고 임의의 튜링기계를 1차원 실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p.35)
둘째는 테이프에 표현된 기계의 정의에 따라 그 동작을 그대로 흉내낼 수 있도록 작동 규칙표를 정의한 점이다(p.35)
무한에도 크기 차이가 있다. (p.41)
메모리 입출력 장치, 중앙처리장치, 소프트웨어(p.47)
03. 그 도구의 실현
스위치 기술과 부울 논리의 결합(p.21)
04. 소프트웨어, 지혜로 짓는 세계
컴퓨터과학 고유의 원천 아이디어들(p.21)
소프트웨어가 일하는 방식(알고리즘)과 소프트웨어를 표현하는 방식(language)
05. 그 도구의 응용
- 인간 지능의 확장
- 인간 본능의 확장
- 인간 현실의 확장
06. 마치면서
컴퓨터과학은 과감히 시도하고, 광범위하게 연대하고, 개방적으로 진행하고, 신속히 산업화하고, 이론과 실제를 분리하지 않는, 그런 마음과 머리와 손재주에 공명할 것이다. 컴퓨터 과학을 굳이 정의한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p.278)
컴퓨터과학은 머리로 궁리하는 것에 대한 공부(science of intelligence)이고,
그 응용은 인간 지능/본능/현실의 확장이다. (p.279)
'Computer Science > 프로그래밍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Caml | Reference call in OCaml (0) | 2022.05.12 |
---|---|
Garbage Collection의 정의와 알고리즘 (0) | 2022.05.10 |
람다 대수 Lambda Calculus란 무엇인가? (ft. Church Encodings) (0) | 2022.04.20 |
Unit Test | 유닛 테스트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만들기 (0) | 2022.04.11 |
Wiki | Unit type (0) | 2022.04.03 |